최초의 블록체인은 2008년 Satoshi Nakamoto가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이라는 9쪽 짜리 논문을 https://bitcoin.org/bitcoin.pdf 에 기재하였고 2009년 최초의 비트코인이 채굴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새로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비트코인은 통화를 발행하고 이것을 관리하는 중앙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으며 거래가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p2p 거래가 가능하였다. p2p는 peer to peer 로써 개인과 개인의 거래를 의미한다.
블록체인에는 여러 가지 장점이 존재하는데 그 1번째는 탈중앙화이다. 중앙서버에서 저장 및 관리를 하는 것이 아닌 p2p로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에 의해 관리된다. 2번째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정하여 새로운 데이터 생성은 가능하지만, 기존데이터를 변경할 수는 없는 무결성의 특성을 가진다. 3번째는 거래정보를 누구나 조회 및 확인이 가능한 투명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물론, 장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표로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하지만 이 외에도 수많은 장단점이 존재한다.
구분 | 중앙 시스템 | 블록체인 시스템 |
장단점 | 1.빠른 거래 속도 2.관리 및 제어의 용이성 3.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 높음 4.DDos 공격에 취약(중앙시스템 해킹 시 다운) |
1.상대적으로 느린 거래 속도 2.관리 및 제어의 복잡성 3.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 비용 낮음 4.DDos 공격 거의 불가능(100% 완벽하진 않음) |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전 세계 은행 가운데 80%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할 것이며 2025년에는 전 세계 총생산량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것이라고 블록체인의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들 수 있다. "아니 블록체인이 발표가 2008년이면 벌써 15년이나 되었는데 왜 이제서야 알려진 것인가?" 그 이유는 발표 초기에는 정말 극소수의 개발자 및 연구자들만 관심을 가졌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이 본격적으로 세상에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는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한 2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 "이더리움"이 출시 된 2015년 경 부터이다. 세계적으로는 2015년 부터이지만 국내에서는 블록체인이 조금씩 알려지게 된 시기는 2017년 부터이다. 이것은 국내의 블록체인을 대표하는 기업 및 유명한 국내대학들을 예시로 들면 더욱 더 알기 쉬울 것이다.
기업명 및 대학명 | 설립년도 | 설명 |
업비트 | 2017년 10월 | 국내 대표 가상화폐 거래소 |
서강대 블록체인 연구센터 | 2018년 3월 | 센터장 박수용 교수 |
고려대 블록체인 연구소 | 2018년 5월 | 연구소장 인호 교수 |
POSTECH 인터블록체인 연구센터 | 2018년 6월 | 센터장 한성호 교수 |
한양대 블록체인 연구원 | 2018년 9월 | 연구원장 유민수 교수 |
2018년 부터 국내의 상위권이라 할 수 있는 유명한 대학들이 블록체인 연구를 위한 센터 및 연구소를 설립하기 시작하였다. 모든 대학이 이 시기에 설립을 한 것은 아니며 위 표의 대학들을 예시로 든 이유는 국내에서는 가장 빨리 설립을 하였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2019년, 2020년, 2021년 등에도 설립 한 대학들이 많다. 심지어 연세대는 2023년 기준 아직 블록체인센터를 설립하지 않았다.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을 그저 가상화폐 혹은 암호화폐 용도로만 생각을 하고 있지만, 그것은 아직 블록체인 기술이 많이 연구가 되지 않은 신기술이기 때문이다. 이제 해봤자 3~4년 밖에 연구진행이 안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것은 20년이상 연구가 이미 진행된 인공지능 같은 분야와 비교해보면 매우 적은 기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블록체인 > [초보]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FS란 무엇인가? (0) | 2023.02.14 |
---|---|
Private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0) | 2023.02.13 |
Public 블록체인 (0) | 2023.02.13 |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 및 특징 (0) | 2023.02.11 |